유물 산포지
-
경기도 남양주시에 선사 시대부터 역사 시대까지 주민들의 생활상과 관련된 유물들이 일정 범위에 산포하고 있는 장소. 유물 산포지(遺物 散布地)는 무덤이나 집터와 같은 특정 유적이 아닌, 토기 조각이나 석기류 등의 유물이 다수 수습되어 어떠한 유구 및 유적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장소를 말한다. 이들 유물은 대부분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지만, 이후 시굴 조사 및 발굴 조사를 거친...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에 있는 후기 구석기 시대 유적. 남양주 호평동 구석기유적(南楊州 好坪洞 舊石器遺蹟)은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에서 발굴 조사된 후기 구석기 시대 유적이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차에 걸쳐 모두 네 지점으로 나눠 발굴 조사하였다. 1·2지점[지역]은 퇴적층과 문화층의 보존 상태가 좋고 유물도 집중 출토되었으며, 약 6분의 1 정도 면적을 조사한 이후 유...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는 구석기 시대에서 역사 시대에 이르는 유적. 덕소 유적(德沼遺蹟)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서 발굴된 구석기 시대에서 역사 시대에 이르는 유적이다. 2005년 공동주택 신축 부지에서 발굴 조사로 알려졌다....
고인돌
-
경기도 남양주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양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초기 철기 시대까지 존속하였던 거석문화(巨石文化)의 일종이다. 고인돌은 일본에서는 지석묘(支石墓)로 칭하며 한국에서도 경우에 따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석붕(石棚) 혹은 대석개묘(大石蓋墓), 유럽에서는 돌멘(Dolmen) 등으로 부른다. 한반도에서 고인돌은 함경북도 일...
-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돌무덤. 가운동 지석묘(加雲洞支石墓)는 경기도 남양주시 가운동 조운마을 과수원에 있는 고인돌이다. 가운동은 2017년 다산동으로 통합되었다. 고인돌이 있는 곳을 ‘괸돌마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여러 기의 고인돌이 있었던 것으로 전하지만 민가 건립 때 구들장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대부분 소실되었다. 가운동 지석묘는 총 2건이 있는데,...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돌무덤. 금남리(琴南里)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초기 철기 시대 관련 유물도 출토되어 정확한 조성 시기를 확정하기 어렵다. 1972년 발굴 조사에서 총 5기가 확인되었으며, 이후 정확한 경과는 알 수 없으나 1기의 고인돌이 추가로 복원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돌무덤. 지둔리(芝屯里) 고인돌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에 있는 선사 시대 돌무덤군이다. 무덤이 조성된 지점은 구릉능선 하단부이다. 북동쪽으로 500m 떨어진 곳에는 북한강으로 유입되는 수동천이 있어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흐른다. 현재까지 확인된 고인돌은 3기뿐이지만, 주변에 비슷한 크기의 석재들이 분포하고 있어 많은 수의...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돌무덤. 진중리(鎭中里) 고인돌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있는 3기의 고인돌로, 주변에 집자리 유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의 강기슭에서 많은 수의 빗살무늬토기편과 민무늬토기편이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강물에 깎여 현재 집자리 유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1호 고인돌은 개석식이고 2호 고인돌과 3호 고인돌은 탁자식이다...
능묘
-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능과 묘. 경기도 남양주시는 서울에서 가까운 곳에 있으며, 육로(陸路)와 한강의 수로(水路)의 편리성 때문에 조선 시대 다수의 왕릉(王陵) 및 선현 묘소(墓所)가 조성되었다. 그래서 능묘는 남양주시 문화재 중 사적 9건, 시도유형문화재 1건, 시도기념물 9건, 문화재자료 6건, 향토유적 10건이 있으며, 이 밖에도 중요한 묘역이 산재하여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조선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남양주 광릉(南楊州光陵)은 조선 제7대 세조(世祖)[1417~1468]와 정희왕후(貞熹王后) 파평 윤씨(坡平 尹氏)[1418~1483]의 능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다. 남양주 광릉은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는 조선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유씨의 묘. 남양주 광해군묘(南楊州光海君墓)는 조선 제15대 광해군(光海君)[1575~1641, 재위 1608~1623]과 부인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유씨(柳氏)[1576~1623]의 묘이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에 있는 조선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 남양주 사릉(南楊州 思陵)은 정순왕후(定順王后) 여산 송씨(礪山宋氏)[1440~1521]의 능으로, 정순왕후는 조선 제6대 국왕 단종(端宗)[재위 1452~1455]의 비이다. 정순왕후는 1454년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457년 단종이 선위(禪位)하고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되자 함께 강등되었다. 정순왕후는 평생...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는 조선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묘. 남양주 성묘(南楊州 成墓)는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공빈 김씨(恭嬪 金氏)[1553~1577]의 묘이다. 공빈 김씨는 본관이 김해(金海)이며, 아버지는 사포(司圃) 김희철(金希哲)[?~1592]이다. 공빈은 1571년 궁인(宮人)으로 입궐하여 선조의 승은을 입은 뒤 소용(昭容)[정3품], 숙의(淑儀...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는 조선 선조의 후궁 인빈 김씨의 묘. 남양주 순강원(南楊州順康園)은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후궁 인빈 김씨(仁嬪 金氏)[1555~1613]의 묘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는 조선 효종의 후궁 안빈 이씨의 묘. 남양주 안빈묘(南楊州安嬪墓)는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후궁 안빈 이씨(安嬪李氏)[1622~1693]의 묘소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다. 안빈 이씨는 본관이 경주(慶州)이며, 아버지는 공조참의에 증직된 이응헌(李應憲)이다. 안빈 이씨는 궁인으로 입궁하여 1649년 숙녕옹주(淑寧翁主)를 낳았...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에 있는 조선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묘. 남양주 영빈묘(南楊州寧嬪墓)는 조선 제19대 숙종(肅宗)의 후궁 영빈 김씨(寧嬪 金氏)[1669~1735]의 묘이다. 영빈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아버지는 성천부사 김창국(金昌國)이고, 할아버지는 김수증(金壽增)[1624~1701]이다. 영빈의 간택 당시 영의정이었던 김수항(金壽恒)[1629~1689]은...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대한제국 고종과 명성황후, 순종과 순명효황후·순정효황후의 능. 남양주(南楊州) 홍릉(洪陵)과 유릉(裕陵)은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高宗)[1852~1919]과 명성황후(明成皇后)[1851~1895]를 안장한 홍릉, 조선 제27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2대 황제 순종(純宗)[1874~1926]과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1872~19...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조선 정조의 후궁 유비 박씨의 묘. 남양주 휘경원(南楊州徽慶園)은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후궁 유비 박씨(綏妃 朴氏)[1770~1822]의 묘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다. 유비 박씨는 본관이 반남(潘南)으로 아버지는 좌찬성 박준원(朴準源)이다. 1787년 후궁으로 간택되어 ‘유빈(綏嬪)’에 봉해지고 ‘가순궁(嘉順宮)’이라는...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녹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왕족 능원대군 이보의 묘역. 능원대군이보묘역(綾原大君李俌墓域)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녹촌리에 있다. 능원대군(綾原大君) 이보(李俌)[1598~1656]와 첫 번째 부인 문화부부인(文化府夫人) 문화 류씨(文化 柳氏)의 합장묘이며, 아래쪽에 두 번째 부인 영암 김씨(靈巖 金氏)의 묘가 있다. 2002년 9월 16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덕혜옹주의 묘. 덕혜옹주묘(德惠翁主墓)는 고종의 막내딸 덕혜옹주(德惠翁主)[1912~1989]의 묘로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다. 대한제국 고종과 명성황후의 홍릉(洪陵), 순종과 순명효황후·순정효황후의 유릉(裕陵), 의민황태자와 황태자비의 영원(英園), 황세손 이구의 회인원(懷仁園), 황자 의친왕·의친왕비 묘, 고종 후궁 귀인 장씨 묘, 고종 후궁...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덕흥대원군 이초의 묘. 덕흥대원군묘(德興大院君墓)는 조선의 제14대 국왕 선조(宣祖)의 아버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岧)[1530~1559]와 어머니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1522~1567]의 쌍분(雙墳)으로 조성되어 있다. 선조는 1568년(선조 1) 묘역 인근에 있는 수락산(水落山)에 원당(願堂)을 짓고,...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는 조선 중종의 아들 봉성군의 묘. 봉성군의 이름은 이완(李岏)이고, 자는 자첨(子瞻)이다. 중종의 다섯째 아들로 어머니는 희빈 홍씨(熙嬪 洪氏)이며, 부인은 동래 정씨 정유인(鄭惟仁)의 딸이다. 또한 금원군(錦原君)의 친동생이며, 인종(仁宗)의 이복동생이다. 명종과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이복 형이다. 어머니 희빈 홍씨는 정국공신 홍경주(洪景舟...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조선 선조의 아들 순화군의 묘. 순화군(順和君) 이보(李𤣰)[1580~1607]는 조선 제14대 선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빈 김씨(順嬪金氏)[?~1647]이다. 부인은 장수 황씨(長水黃氏)로 좌찬성으로 증직된 황혁(黃赫)의 딸이며, 장계부원군(長溪府院君) 황정욱(黃廷彧)의 손녀이다....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있는 조선 태종의 후궁 신빈 신씨의 묘역. 신빈신씨묘역(信嬪辛氏墓域)은 조선 태종(太宗)의 후궁 신빈 신씨(信嬪 辛氏)[?~1435]의 묘역이다. 신빈은 본관이 영산(靈山)[영월(寧越)]이며, 아버지는 검교 공조참의(檢校工曹參議) 신영귀(辛永貴)이다. 신빈은 원경왕후(元敬王后)의 궁인(宮人)이었으며, 1414년 신녕옹주(信寧翁主)에 봉해졌다. 이때...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있었던 일제 강점기 영선군 이준용의 묘와 신도비. 영선군(永宣君) 이준용(李埈鎔)[1870~1917]은 본관이 전주(全州)이고, 자는 경극(景極)이며, 호는 석정(石庭)·송정(松亭)이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의 손자이며, 고종(高宗)의 형인 이재면(李載冕)[1845~1912]의 아들이다. 이준용은 여러 차례 고종을 대신하여 옹립...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의민황태자와 의민황태자비의 합장묘. 영원(英園)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의민황태자[영친왕]과 의민황태자비[이방자]를 안장한 곳이다....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있는 개항기 왕족 완흥군 이재면의 묘. 완흥군(完興君) 이재면(李載冕)[1845~1912]은 본관이 전주(全州), 자는 무경(武卿), 호는 우석(又石)이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의 큰아들이자 고종(高宗)의 친형이며, 영선군(永宣君) 이준용(李埈鎔)[1870~1917]의 아버지이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는 조선 선조의 아들 임해군 이진의 묘. 임해군묘(臨海君墓)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있는 임해군(臨海君) 이진(李珒)[1574~1609]의 묘이다. 임해군 이진은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큰아들이자 광해군(光海君)의 친형으로 어머니는 공빈 김씨(恭嬪 金氏)이다. 임해군은 1585년 허명(許銘)의 딸 양천 허씨(陽川 許氏)[1571~1...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있는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묘. 흥원(흥선대원왕)[興園(興宣大院王)]은 흥선대원왕 이하응(李昰應)[1820~1898]의 묘소이다. 이하응은 자(字)가 시백(時伯), 호(號)는 석파(石坡)이며, 조선 제26대 고종(高宗)의 사친(私親)이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남재 등의 묘가 있는 의령 남씨의 묘역. 구정남재묘역(龜亭南在墓域)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남재(南在)[1351~1419]를 비롯한 의령 남씨의 묘역이다.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남재의 아버지 남을번(南乙蕃)[1320~1395], 남재, 신인 의령 남씨(愼人宜寧南氏)의 묘가 있다. 구정남재묘역은 2002년 9월 16일...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기계 유씨의 묘역. 기계 유씨 묘역 및 신도비(杞溪 兪氏 墓域 및 神道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에 있다. 차산리 일대에는 기계 유씨 유강(兪絳)[1510~1570]과 부인 전주 이씨, 의령 남씨와의 합장묘를 비롯하여 유성증(兪省曾)[1576~1649], 유황(兪榥)[1599~1655], 유철(兪櫛)[1606~1671] 등...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상용의 묘. 김상용선생묘(金尙容先生墓)는 김상용(金尙容)[1561~1637]과 부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합장묘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다. 김상용선생묘는 1987년 2월 12일 경기도 기념물 제9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상헌의 묘. 김상헌선생묘는 조선 후기 문신 김상헌(金尙憲)[1570~1652]의 묘로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 있다. 할아버지 김생해(金生海)[1512~1558]의 묘소 바로 아래에 단독으로 조성되어 있다. 1987년 2월 12일 경기도 기념물 제100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정리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무신 변안열의 묘소. 변안렬(邊安烈)[1334~1390]은 중국 심양(瀋陽) 출신으로, 공민왕을 따라 고려에 와서 정착하였다. 홍건적 및 왜구와의 전투에서 활약하여 공신의 칭호를 받았다. 김저(金佇)[?~1389] 의 옥사에 연루되면서 처형되었고, 공신 칭호도 박탈당하였다. 대은변안렬묘역(大隱邊安烈墓域)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시우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류량의 묘. 류량선생묘(柳亮先生墓)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시우리에 있다. 조선 좌명공신 류량(柳亮)[1354~1416]과 부인 연안 이씨(延安李氏)의 묘가 함께 있으며, 봉분 앞에는 장명등 1기와 문인석 1쌍이 있다. 조선 초기 묘제와 석물 양식이 확인된다. 1984년 9월 12일 경기도 기념물 제78호로 지정되었으나 202...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계순 등 청주 한씨의 묘역. 양평공한계순묘역(襄平公韓繼純墓域)에는 한계순(韓繼純)[1431~1486]의 묘와 할아버지 한상경(韓尙敬)[1360~1423], 아버지 한혜(韓惠)[1403~1431] 등의 묘소가 함께 조성되어 있다. 양평공한계순묘역은 2001년 1월 16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2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맹현의 묘. 이맹현선생묘(李孟賢先生墓)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금대산(金大山) 중턱에 이맹현(李孟賢)[1436~1487]과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의 묘가 함께 있다. 봉분 앞에는 15세기에 조성된 묘표와 문인석이 있다. 이맹현선생묘는 1987년 2월 12일 경기도 기념물 제114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이순지의 묘. 이순지선생묘(李純之先生墓)는 이순지(李純之)[?~1465]와 부인 영월 신씨(寧越 辛氏)의 합장묘로 조성되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에 있다. 이순지선생묘는 1984년 9월 12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4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춘원의 묘와 신도비. 이춘원 묘와 신도비(李春元 墓와 神道碑)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관료인 이춘원(李春元)[1571~1634]의 묘와 신도비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에 있다. 이춘원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다. 남양의 홍지성(洪至誠)[1528~1597]과 영평에 은거한 박순(朴淳)[1523~1589]에게 학문을 배웠다...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약용의 묘. 정약용선생묘(丁若鏞先生墓)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과 부인 풍산 홍씨(豐山 洪氏)의 합장묘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는 정약용선생묘를 중심으로 정약용유적지와 정약용 생가가 조성되어 있으며, 옆에 경기도에서 건립한 실학박물관과 다산생태공원 등이 있다. 정약용선생묘는 1972년 5월...
-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에 있는 조선 후기 청풍 김씨의 묘역. 청풍김씨문의공파묘역(淸風金氏文毅公派墓域)은 문의공(文毅公) 김식(金湜)[1482~1520]과 자손들인 김육(金堉)[1580~1658], 김좌명(金佐明)[1616~1671], 김성응(金聖應)[1699~1764], 김시묵(金時默)[1722~1772]의 묘소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에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박원종과 일가의 묘역. 충렬공박원종묘역(忠烈公朴元宗墓域)에는 충렬공(忠烈公) 박원종(朴元宗)[1467~1510]과 아버지 박중선(朴仲善)[1435~1481], 아들 박운(朴雲)[1488~1570] 등 박원종 일가의 묘소가 조성되어 있다. 충렬공박원종묘역은 2000년 3월 24일 경기도 기념물 제170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조선 후기 하원군 이정의 묘와 신도비.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1545~1597]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큰아들이자 선조(宣祖)의 친형이다. 1558년 ‘하원정(河原正)’에 봉해지고, 1561년 ‘하원군’에 봉해졌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선조를 호종하여 가다가 사망하였다. 덕흥대원군묘 아래에 하원군의 묘소가 조성되었으며, 남...
관방 유적
-
경기도 남양주시에 남아 있는 전근대 군사 방어 시설.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은 남쪽과 동쪽으로 한강 수계가 있고, 서북쪽에는 왕숙천 수계와 배후에 아차산-망우산-불암산이 있는 지형적인 특징이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국사봉에 있는 삼국 시대의 관방 시설. 국사봉보루(國賜峰堡壘)는 수락산에서 연결되는 독립된 봉우리인 국사봉[해발 330.5m]의 정상부에 있다. 한강을 남북으로 연결하고 불암산성과 퇴뫼산성을 동서로 연결하는 교통로를 통제하기 위한 요충지에 축조되었다. 한강 유역의 북쪽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는 아차산, 용마산-망우산-수락산을 기준으로 서쪽의 중랑천...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산성. 마진산성(馬鎭山城)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 해발 81m의 독립된 구릉에 있는 산봉형 산성이다. 마진산성이 있는 지역은 삼국 시대 이후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치열한 충돌이 벌어진 곳이다. 두물머리에서 나뉘어 북한강으로 연결되는 초입에 해당하는 구릉에 있다는 점에서 마진산성은 강원도 춘천 방면에서 한강 하류로 연결되는 북...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불암산성(佛巖山城)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산[해발 510m]에 있다. 삼국간의 항쟁이 벌어진 한강 유역에서도 아차산, 용마산-망우산-불암산-수락산은 고구려와 신라의 관방 시설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불암산성은 아차산 일대 보루군과 수락산 보루군을 연결하는 지점에 있는 관방 시설로, 서울 아차산성과 양주 대모산성을...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는 통일 신라의 토성. 수석리토성(水石里土城)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다. 수석동은 삼국 시대 이후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치열한 충돌이 벌어진 곳이다. 수석리토성의 북쪽에는 안산보루, 동쪽에는 역촌토성이 있다. 한강과 나루는 군사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었기 때문에 여러 시기에 걸쳐서 수석동 일대에 관방 시설이 설치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 안산에 있는 삼국 시대의 관방 시설. 안산보루(案山堡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 안산[해발 128.8m]에 있다. 안산은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치열한 충돌이 벌어진 삼국 시대 이후에 다수의 관방 시설이 배치된 곳이다. 5세기 고구려와 백제, 6세기 중반 이후 신라와 고구려 간의 충돌이 있었으며, 나당전쟁기나 후삼국 시기에도 다수의 관방 시설이 축조 혹은 운...
-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에 있는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성. 역촌토성(驛村土城)은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역촌마을에 있다. 역촌토성이 있는 구릉은 삼국 시대 이후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치열한 충돌이 벌어진 지점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시된 한강의 통제는 중요한 의미가 있었기 때문에 주요 나루를 통제하는 시설이 필수적이었다. 역촌토성은 한강이 직각으로 굽이치는 지점에서...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퇴뫼산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퇴뫼산성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퇴뫼산[해발 370.2m]에 있다. 삼국간 항쟁이 벌어진 한강 유역의 북쪽으로 왕숙천 수계와 중랑천 수계의 교통로를 연결하는 지점에 건립된 관방 시설이다. 풍양고성(豐壤古城), 퇴계원북산성(退溪院北山城), 광전리성지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탑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묘적사에 있는 조선 전기 팔각다층석탑. 남양주 묘적사 팔각다층석탑(南楊州 妙寂寺 八角多層石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묘적사에 있는 조선 전기 팔각다층석탑이다. 2013년 11월 1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7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에 있는 조선 전기 사리탑.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南楊州 水鐘寺 舍利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에 있다. 1439년(세종 21) 태종(太宗) 이방원(李芳遠)[1367~1422]의 딸 정혜옹주(貞惠翁主)[?~1424]를 위하여 건립한 사리탑이다. 1939년 사리탑을 해체·수리할 때 발견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는 보물 제259로 지...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에 있는 조선 전기 팔각오층석탑. 수종사(水鐘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로 1459년(세조 5)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南陽州 水鐘寺 八角五層石塔)은 1493년 이전 건립된 팔각오층석탑이다. 원래 사찰 동쪽의 능선 위에 있었다.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2013년 9월 4일 보물 제...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동북쪽 낮은 능선에 있는 조선 후기 석탑. 남양주흥국사성임당탑(南楊州興國寺聖任堂塔)은 18세기 전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동북쪽 낮은 능선에 있다. 남양주흥국사성임당탑은 2006년 7월 3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3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에 있는 조선 시대 석탑. 수종사 소탑(水鐘寺 小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에 있다. 수종사 소탑은 건립 시기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며, 조선 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에 있는 3·1운동 정신을 기리기 위한 탑. 3·1의거 애국선열 추념탑(三一義擧 愛國先烈 追念塔)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에 있다. 1919년 3월 15일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조안리[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조안리] 주민들은 태극기를 앞세우고 조선 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면사무소가 있는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덕소리[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
-
경기도 남양주시 일패동에 있는 호국 영령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건립한 탑. 현충탑(顯忠塔)은 호국 영령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화백 이일영에게 제작 위촉하여 1980년 4월 1일 건립되었고, 1981년 6월 6일 제막되었다....
비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에 있는 3·1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비. 3·1운동 기념비(三一運動 紀念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에 있다. 일제 강점기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지금의 남양주시 화도읍]에서는 1919년 3월 18일 밤 10시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1,000여 명의 주민들은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 마석우리[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에 있는 헌병주재...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도산정사 입구에 세운 비. 도산석실려·고송오류문(陶山石室閭·孤松五柳門)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석실마을 도산정사(陶山精舍)의 입구에서 출입처의 기능을 하던 입석이다. ‘도산(陶山)’과 ‘오류(五柳)’라는 명문은 모두 도연명(陶淵明)[365~427]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추정된다....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에 있는 6·25전쟁 당시 미군의 활약성을 알리기 위한 기념비. 미 제25사단 한강도하 기념비(美 第二十五師團 漢江渡河 記念碑)는 경기도 남양주시가 미 제25사단의 6·25전쟁 기간 활약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웠다. 미 제25사단은 1·4후퇴 이후 서울을 재탈환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한강 도하 작전을 감행하였다. 미 제25사단 한강도하 기념비는 경기도 남...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에 있는 6·25전쟁 당시 북한군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기념비. 반공희생자 합동위령비(反共犧牲者 合同慰零碑)는 6·25전쟁 당시 북한군에 의하여 희생된 민간인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이다. 1950년 인천상륙작전 이후 후퇴하던 북한군이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에 초소를 만들어 저항하는 주민들을 사살하였다. 이때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에서...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조선 시대 비석. 봉선사하마비(奉先寺下馬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 경내 입구 부근에 있다. 하마비는 말을 탄 사람은 모두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문구가 음각된 비석으로 보통 궐이나 사찰 입구에 세웠다. 봉선사하마비에는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는 문구가 음각되어 있는데, 하마비부터는 말에서 내리는 것을 안내하기...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 후기 비석. 불암사사적비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다. ‘천보산불암사사적비(天寶山佛巖寺事蹟碑)’라고도 부른다. 불암사사적비에 ‘숭녕기원후재신해년(崇寧紀元後再辛亥年)’이라고 새겨져 있어, 숭정 이후 두 번째 되는 신해년인 1731년(영조 7)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암사사적비는 불암사의 경내이자 근래에 건립된...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에 있는 3·1운동 순국선열을 기리기 위한 비. 순국선열추념비(殉國先烈追念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에 있다. 일제 강점기 지금의 남양주 지역에 해당하는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에서는 1919년 3월 18일 밤 10시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다. 1,000여 명의 주민들은 화도면 마석우리에 있는 헌병주재소 앞에 모여 구금된 인사들의 석방을 요구하면...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에 있는 3·1운동 정신을 기리는 기념비. 진접3·1운동기념비(榛接三一運動紀念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에 있다. 일제 강점기 지금의 남양주시 지역에 해당하는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에서는 두 차례의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1919년 3월 14일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장현리에 모인 주민 70여 명은 만세 시위를 벌였고, 3월 31일 광릉천 모래밭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춘원 이광수를 기념하여 세운 비.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1892~1950]는 1944년 3월부터 1948년 8월까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의 광릉 지역과 사릉에서 머물며 농사를 지었다. 그리고 1946년 9월 2일 광동중학교에 교사로 부임하였다. 신용철의 연구에 따르면 “일과 후 숲속을 거닐며 초목과 대화하고 죽은 새도 묻어 주었다. 염...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에 있는 취우대사의 생애와 부도 건립 내용을 새긴 조선 후기 비석. 풍암취우대사비(楓巖取愚大師碑)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에 있다. 취우대사(取愚大師)[1695~1766]가 열반에 든 이후인 1767년(영조 43) 세워졌다. 비문은 이유간(李惟簡)이 글을 짓고 윤행순(尹行醇)이 글씨를 썼으며, 당대 명필인 조윤형(曺允亨)[1725~...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확의 신도비. 한확선생신도비(韓確先生神道碑)는 15세기 좌의정을 지낸 한확(韓確)[1403~1456]의 신도비로 한확 사후 39년인 1495년 건립되었다. 비문은 어세겸(魚世謙)[1430~1500]이 지었으며, 글씨는 임사홍(任士洪)[?~1506]이 썼다. 한확선생신도비는 1985년 6월 28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7호로...
불교 건축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큰법당.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南楊州 奉先寺 큰法堂)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대웅전(大雄殿)이다. 일반적으로 석가여래를 모신 가람의 전각을 대웅전이라 부르는데, 봉선사는 ‘대웅전’이라 하지 않고 한글로 ‘큰법당’이라고 하였다. 불교 대중화에 앞장선 승려 운허용하(耘虛龍夏)[1892~1980]의 뜻이 잘 드러난 건물...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큰 방. 남양주 흥국사 대방(南楊州 興國寺 大房)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 중건된 대방(大房)이다. 대방은 승려들이 모여 생활하는 큰 방을 말한다. 정토 신앙과 염불 수행이 크게 성행한 조선 후기와 개항기 의 시대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건물로, 염불당 형식의 큰 방을 중심으로 승방, 부엌, 누각 등으로 구...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은 사찰의 가장 중심적인 건축물로 석가모니상을 모신 곳이다. 화재로 소실된 것을 1821년 중건하였다. 1985년 6월 28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6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전기 법당. 흥국사는 선조(宣祖)의 아버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1530~1559]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지은 사찰이다. 남양주 흥국사 영산전(南楊州興國寺靈山殿) 또한 조선 전기 왕실의 후원을 받아 만들어진 종교 의식을 치르는 불교 건축물이다. 현재 건축물은 1892년 다시 세운 것이다. 석가모니와 일대기를 여덟 시기로 나누어 그린 팔상...
터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일원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조선 후기 문인 윤선도의 별서지. 고산촌(孤山村)은 조선 시대 문인 윤선도(尹善道)[1587~1671]의 별서지(別墅地)이다. 윤선도의 자는 약이(約而)이며, 호는 고산(孤山) 외에도 해옹(海翁)이 있다. 『고산선생유고(孤山先生遺稿)』에 실린 부록 「시장(諡狀)」에 따르면 윤선도의 거처가 남쪽 바다에 있었고, 양주(楊州) 고산에도 있...
-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었던 김정희의 아버지 김노경이 지은 별장. 과지초당(瓜地草堂)은 1824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의 친아버지 김노경(金魯敬)[1766~1837]이 별서[별장]로 마련하였다고 한다. 김노경이 죽자 김정희는 김노경의 묘를 인근의 옥녀봉에 모시고 과지초당을 묘막으로 3년상을 치렀다. 이후 김정희는 유배에서 풀려난 1852년부터 말년에 과지초당...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 한강 변에 있었던 나루터. 금남리나루터[琴南里渡址]는 경기도 남양주시와 양평군 사이의 북한강 연변에 있었던 나루터 문화 유적이다.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는 빗살무늬토기와 민무늬토기 등이 발견되었고 고인들도 산재하고 있어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의 거주가 있었던 강변 부락의 유래를 보여 주는 역사 공간이다. 금남리나루터는 남양주의 대표적 나루터인 용진나루...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는 조선 전기 봉수대. 대이산봉수대(大伊山烽燧臺)는 조선 시대의 봉수대로, 경기 동북부와 한양을 연결하는 곳에 건립되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으며 ‘한이산봉수대(汗伊山烽燧)’라고도 한다....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한강 변에 있었던 나루터. 미음나루터[渼音渡址]는 경기도 남양주시와 하남시 사이의 한강 변과 왕숙천 및 홍릉천 사이에 있었던 나루터의 문화 유적이다. 전근대 시기 양주에서 광주로 이동하는 수상 교통의 요충지였다. 미음진(渼陰津)이라고도 한다. 한강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명승지로 인근 지역을 미호(渼湖)라고 불렀다. ‘미호’는 한자의 의미대로 잔물결이 넘실...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구암리 북한강 변에 있었던 나루터. 사기막나루터는 경기도 남양주시와 양평군 사이에 흐르는 북한강 인근의 수상 교통 문화 유적지이다. 전근대 시기의 양주에서 강원도로 이동하는 수상 교통의 요충지로 원래의 나루터는 준설 및 사방 공사로 변형되었다. 남양주시가 면한 북한강에서 양평군 삼회리 쪽으로 건널 수 있는 최단 거리에 있다.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를...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었던 조선 후기 석실서원의 터. 석실서원지(石室書院址)는 1654년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건립된 석실서원의 터이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현재는 훼철되어 터만 남아 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 북한강 변에 있었던 나루터. 용진나루터[龍津渡址]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조안과 양평의 양수리 사이의 북한강 변에 있었던 나루터 문화 유적이다. 용진나루터는 전근대 시기 양주에서 경상북도로 이동하는 수상 교통의 요충지였다. 현재는 양수대교와 경의중앙선이 과거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용진나루터의 북한강을 ‘용진물’...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었던 조선 시대 이궁 터. 풍양궁지(豊壤宮址)는 유사시 왕이 피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세종 초 태종의 주도로 조성된 이궁(離宮)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희궁·남쪽의 낙천정·북쪽의 장위동 본궁과 함께 한양의 동편에 조성되었다....
기타 유적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유적지. 정약용유적지(丁若鏞遺蹟地)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태어난 곳이자 안장된 곳인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현마을에 조성된 유적지이다. 정약용유적지는 1989년 1월 1일 개관한 이후 12월 관리사무소 및 기념관이 신축되었고, 1998년 문화관이 신축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수위 관측소. 하천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는 강우량, 수위, 유량 측정값이다. 한국의 근대 강우량 측정은 1904년 시작되고, 수위와 유량 측정은 1914년 시작되었다. 초기 수위 측정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설을 강에 설치하고 관찰하는 방식이었다. 수위 조절을 할 수 있는 댐이 설치되지 않았던 시기 한강...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에 있는 중앙선의 옛 철도역. 남양주 구 팔당역은 중앙선(中央線) 남양주 구간에 있던 철도역이다. 중앙선은 1935년에 노선이 확정되어, 1936년 본격적으로 건설되었다. 1939년 4월 서울과 경주를 이어주는 중앙선 북부 구간인 청량리역~양평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팔당역이 건립되었다. 이후 1944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하였으며, 1991년에는 화물전용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