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478 |
---|---|
한자 | 德興大院君墓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27[별내동 산 205-13]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윤혜민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522년 - 하동부대부인 정씨 출생 |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530년 - 이초 출생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559년 - 이초 사망 |
조성 시기/일시 | 1559년 - 덕흥대원군묘 조성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567년 - 하동부대부인 정씨 사망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0년 6월 2일 - 덕흥대원군묘 경기도 기념물 제55호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덕흥대원군묘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경기도 기념물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덕흥대원군묘 -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27[별내동 산 205-13] |
성격 | 묘 |
관련 인물 | 덕흥대원군|하동부대부인 정씨 |
봉분 크기/묘역 면적 | 112㎡[면적]|190㎝[봉분 높이]|15.7m[봉분 둘레]|350㎝[비석 총 높이]|196㎝[비석 높이]|80㎝[비석 너비]|27㎝[비석 두께] |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덕흥대원군 이초의 묘.
[개설]
덕흥대원군묘(德興大院君墓)는 조선의 제14대 국왕 선조(宣祖)의 아버지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岧)[1530~1559]와 어머니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1522~1567]의 쌍분(雙墳)으로 조성되어 있다. 선조는 1568년(선조 1) 묘역 인근에 있는 수락산(水落山)에 원당(願堂)을 짓고, ‘흥덕사(興德寺)’[현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수락산에 있는 흥국사(興國寺)]라는 편액을 하사하여, 덕흥대원군과 하동부대부인의 명복을 빌었다. 덕흥대원군이 별내동에 묻히면서 묘역 아래에 마을이 생겨났는데, 마을에는 대원군의 위패(位牌)를 모신 덕흥사(德興祠)가 세워졌다. 덕흥대원군묘는 1980년 6월 2일 경기도 기념물 제55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위치]
덕흥대원군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산205-13번지에 있다. 수락산(水落山) 남쪽에 있다.
[변천]
1559년(명종 14) 5월 9일 덕흥대원군이 세상을 떠난 후, 9월 17일 수락산 언덕에 묘를 조성하여 예장하였다. 1567년(명종 22) 5월 18일 하동부대부인 정씨가 세상을 떠나자, 8월 9일 덕흥대원군 곁 이실(異室)에 예장하였다. 1569년(선조 2)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면서, 1570년(선조 3) 석물들이 새롭게 제작되었다. 특히, 무인석(武人石)은 왕자묘(王子墓)에서 찾아보기 힘든데, 대원군의 묘제로 무인석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1573년(선조 6) 묘역 하단에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졌다.
[형태]
덕흥대원군묘 묘역은 112㎡이며, 봉분 뒤에는 사성(莎城)이 갖추어져 있다. 봉분은 호석(護石)으로 둘러져 있고, 높이 190㎝, 둘레 15.7m의 쌍분 형태이다. 두 봉분 사이에 묘비(墓碑)가 세워져 있으며, 묘비 앞에는 상석(床石)·향로석(香爐石)·장명등(長明燈)이 있고, 양옆에는 망주석(望柱石)·무인석(武人石) 등이 있다. 묘소 전방 약 20m 지점에는 대리석으로 만든 신도비가 있는데, 총 높이 350㎝, 비 높이 196㎝, 너비 80㎝, 두께 27㎝이다. 신도비문은 강녕군(江寧君) 홍섬(洪暹)[1504~1585]이 지었고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1517~1584]이 글씨를 썼다.
[금석문]
덕흥대원군묘 신도비에는 ‘덕흥대원군하동부대부인정씨지묘(德興大院君河東府大夫人鄭氏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신도비문은 전면에만 있는데, 상단에 전서(篆書)로 ‘대원군지비(大院君之碑)’라고 음각되어 있다. 비제(碑題)는 ‘유명조선국덕흥대원군신도비병명(有明朝鮮國德興大院君神道碑幷銘)’이다.
[의의와 평가]
덕흥대원군은 조선 최초의 대원군으로, 이후 인조의 아버지 정원대원군(定遠大院君)과 철종의 아버지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등 대원군 묘소의 조성 기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