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461 |
---|---|
한자 | 佛巖寺寺跡碑 |
이칭/별칭 | 천보산불암사사적비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별내동 797] 불암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욱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 후기 비석.
불암사사적비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다. ‘천보산불암사사적비(天寶山佛巖寺事蹟碑)’라고도 부른다. 불암사사적비에 ‘숭녕기원후재신해년(崇寧紀元後再辛亥年)’이라고 새겨져 있어, 숭정 이후 두 번째 되는 신해년인 1731년(영조 7)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암사사적비는 불암사의 경내이자 근래에 건립된 제월루(霽月樓) 바로 앞에 있다.
불암사사적비에는 불암사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으며 불암사사적비를 세울 때 찬조한 인물들의 이름도 등장한다. 불암사사적비 비문은 이덕수(李德壽)[1673~1744]가 찬하였으며, 조명교(曺命敎)[1687~1753]가 비문을 썼다.
불암사사적비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797번지 불암사의 경내 제월루 바로 앞에 있다.
불암사사적비의 총 높이는 305㎝, 비의 몸체는 210㎝이다. 지댓돌은 반쯤 땅에 묻혀 있으며, 비의 뚜껑돌은 팔작지붕 모양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암사사적비에는 ‘유명조선국양주천보산불암사사적비(有明朝鮮國楊州天寶山佛巖寺事蹟碑)’라는 제액이 새겨져 있으며, 현재 비석의 마모가 심해 전체 글자를 모두 확인하기 어렵다.
불암사사적비는 불암사 경내에 있어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불암사사적비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