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유물
-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사찰에 존재하는 다양한 불교 유물. 경기도 남양주시에는 신라 혹은 고려 시대에 개창되었다고 전하는 여러 사찰들이 있다. 하지만 남양주시 별내면에 있는 흥국사 정도를 제외하고, 다른 사찰들의 경우 창건 시점을 언급하고 있는 이야기들의 실체를 입증할 만한 자료가 부족하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남겨진 사찰의 연혁은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조선 전기 동종. 남양주 봉선사 동종(南陽州 奉先寺 銅鍾)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 경내에 있는 동종이다. 1469년(예종 1) 조선 왕실에서는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봉선사를 짓고 동종을 만들었다. 횡대 아래에는 강희맹(姜希孟)[1424~1483]이 짓고 정난종(鄭蘭宗)[1433~1489]이 글씨를 쓴 명문이 새겨져...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범종각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법고와 목어. 흥국사 대방(大房)의 동쪽에 있는 범종각 내에는 범종, 운판, 법고, 목어 등이 있는데, 범종과 운판은 최근 제작된 것이고 목어와 법고는 19세기 중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법고는 사찰에서 불교 의식에 쓰이는 쓰는 북을 가리키며, 목어는 나무를 잉어 모양으로 깎고 바닥면을 파내 속을 두드리는 법구이다. 법...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경판. 불암사경판(佛岩寺經板)은 불교와 관련된 문헌 목판으로 대부분 조선 1635년(인조 13)에서 1795년(정조 19) 사이에 간행되었다. 총 34종 587판의 목판이 불암사에 소장되었다. 『금강경』과 『부모은중경』 등의 대승경전과 「천지팔양신주경」, 「지장보살원경」, 「조왕경」 등의 위경류(僞經類), 『진언요초』 등의 진언다라니...
불화
-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에 있는 여러 사찰에 봉안된 다양한 불교 회화. 불화(佛畫)는 불교를 깊이 알지 못하는 일반인에게 심오하고 어려운 불교 교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서 불교의 내용이나 부처의 가르침을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보통 좁은 의미에서의 불화는 법당 안에 배치하는 그림을 말한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의 불화는 부처의 전생 이야기인 본생담(本生譚)을 그린 것과 부처의...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20세기 초반 제작된 독성도. 「남양주 봉선사 독성도(南楊州奉先寺獨聖圖)」는 20세기 초반 만들어진 독성도(獨聖圖)이다. 독성도는 대개 선풍도골(仙風道骨)의 노인이 폭포수가 흐르는 깊은 산 고목 아래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남양주 봉선사 독성도」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 북두각에 「남양주 봉선사 칠성도」와 함께...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조선 후기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南楊州 奉先寺 毘盧遮那三身掛佛圖)」는 1735년(영조 11) 숙종의 후궁이었던 영빈 김씨가 사망하자, 명복을 빌기 위해 상궁 이성애(李性愛) 등이 제작한 것이다. 수화원인 각총(覺聡)과 보조 화승인 칠혜(七惠), 두책(斗策), 태운(太雲), 만빈(萬彬) 등이 참여하였다. 남...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봉선사 칠성도(南楊州 奉先寺 七星圖)」는 1903년 조선 후기의 화승(畵僧)인 예예상규(禮藝尙奎)가 편수(邊手)를 맡고, 범선원하(梵船元荷)가 출초(出草)를 맡아 제작된 탱화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던 원흥사에서 보관하다가 1926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 북두각에 봉안되었다. 원흥사는 현...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산신도(南楊州 奉永寺 山神圖)」는 1903년 제작되었는데, 조선 후기의 화승(畵僧) 예예상규(禮藝尙奎)가 출초(出草)에 참여하였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에 있는 원흥사에서 보관하다가 봉영사로 옮겨졌다. 「봉영사 산신탱」이라고도 한다. 2011년 5월 2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8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봉안된 개항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신중도(南楊州 奉永寺 神衆圖)」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다. 잘려 나간 화기의 일부에 19~20세기에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畵僧)인 두흠(斗欽)이 출초(出草)에 참여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봉영사 신중화」,...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는 조선 후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아미타불도(南楊州 奉永寺 阿彌陀佛圖)」는 1853년 화원(畵員) 환익(幻翼)이 책임자인 수화승(首畵僧)을 맡고, 묘언(妙彦)이 편수(邊手)를 맡았으며, 응석(應釋) 등이 일반 화원으로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봉안되어 있다. 화기(畵記)에는 석가모니불을 묘사한 영산회상...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있는 조선 후기 탱화. 「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南楊州 奉永寺 地藏十王圖)」는 1828년 만들어졌는데, 화승(畵僧)인 신선(愼善)이 책임자인 수화승(首畵僧)으로 참여하였다. 북한산의 중흥사에 봉안 중이었는데, 정확한 이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봉영사에 소장되어 있다. 「봉영사 지장탱」, 「지장보살화」라고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불암사 괘불도(南楊 州佛巖寺 掛佛圖)」는 1895년(고종 32) 수화승(首畵僧) 영환(永煥)과 화승(畵僧)인 응석(應釋), 창엽(瑲曄) 등이 참여하여 제작되었다. 당시 왕인 고종과 왕세자 등 주요 왕실 구성원의 왕생을 빌고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며, 불법이 널리 퍼지기를 기원하는 내용 등이 적혀 있다. 2017년 6월 14...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 불암사 석가삼존십육나한도(南陽州佛巖寺釋迦三尊十六羅漢圖)」는 1897년(광무 1)에 제작되었는데, 응석(應釋)·환감(幻鑑)이 출초(出草)하고, 긍법(肯法)·윤익(潤益)·재오(在悟)·운조(雲祚)·봉안(奉安)이 편수(邊首)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소장되어 있다. 2018년 9월 10일 경기도 유형...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에 있는 개항기 탱화. 「남양주내원암괘불도(南楊州內院庵掛佛圖)」는 1885년(고종 22)에 제작되었는데, 화승(畵僧) 정탁(定濯), 진철(震徹), 석운(石雲), 두열 등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에 봉안되어 있다. 2004년 11월 2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11월 19일 「문화...
불상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견성암 약사전에 있는 고려 후기 석조약사여래좌상. 견성암 석조약사여래좌상(見性庵 石造藥師如來坐像)은 고려 말 혹은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석조약사여래좌상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견성암 약사전 내에 있다. 조선 시대 조성된 약사불상은 대부분 선정인(禪定印)을 한 약기인(藥器印)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견성암 석조약사여래좌상은 통일...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에 있는 조선 전기 목조불좌상. 남양주 봉선사 목조불좌상(南楊州 奉先寺 木造佛座橡)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봉선사 경내에 있는 목조불좌상이다. 왼쪽 어깨에 걸친 가사(袈裟)가 오른쪽 허리로 내려오는 우견편단(右肩偏袒) 모습은 조선 전기 불상의 특징이기에 조선 전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과거 봉선사 방적당(放跡堂)에 모셔져 있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조 불상.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南楊州 佛巖寺 木造觀音菩薩坐像)은 1649년(인조 27) 조각승이었던 무염(無染) 등에 의하여 제작된 불상이다. 2018년 10월 30일 보물 제2003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여래좌상(南楊州佛庵寺木造釋迦如來坐像)은 1620년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불암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2018년 12월 1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48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대웅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석가삼존불좌상.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南楊州 興國寺 大雄寶殿 木造釋迦三尊佛座像)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대웅보전에 있는 목조석가삼존불좌상이다. 삼존불을 표현 방식은 불상의 대의(大衣) 처리 방식 및 신체 비례와 얼굴[이목구비]의 표현 기법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삼존불의 대의 자락...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일괄(南楊州 興國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은 1792년(정조 16) 제작되었으며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지장전에 있다. 목조지장보살삼존상은 본존불 지장보살과 그 외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등 총 21구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3월 8일 경기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영산전에 있는 조선 전기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南楊州興國寺塑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16나한상 일괄(十六羅漢像一括)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영산전에 있다.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3월 8일 소조석가삼존불좌상만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4호로 지정되...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에 있는 조선 전기 불상. 내원암 석불입상(內院庵石佛立像)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내원암 경내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원래 내원암 대웅전 바로 아래쪽에 있었으나, 내원암의 동북쪽 방향으로 400m 올라간 곳에 축대와 단을 조성하여 이동하였다. 불상의 양식과 함께 불상 아래쪽 건물 터에서 조선 전기의 기와와 토기, 백자편 등이 발견되어 조선...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석조약사여래좌상.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興國寺 石造藥師如來坐像)은 석재를 사용하여 만든 불상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만월보전에 있다.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형태나 보존 상태 등으로 미루어 조선 후기의 유물로 추정되지만, 인근 지역에는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1335~1408]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성...
기타 유물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한상경의 초상화. 신재한상경영정(信齋韓尙敬影幀)은 경기도 남양주시의 대표적인 조선 시대 초상화로 17세기에 이모한 그림이다. 초상의 주인은 한상경(韓尙敬)[1360~1425]으로,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숙경(叔敬), 호는 신재(信齋),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382년(우왕 8)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성계의 왕조 개국에...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실학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천문 시계.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는 기계 시계의 발명 이전에 서구에서 사용되던 평면구형 아스트롤라베(astrolabe)의 중국판이라 할 수 있는 서양식 천문의기이다. 명나라 사람 이지조(李之藻)[1564~1630]가 1607년 편찬한 『혼개통헌도설(渾蓋通憲圖說)』에 설명된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지조는 아스트롤라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