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943 |
---|---|
한자 | 興國寺 石造 藥師如來 坐像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별내동 233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조욱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석조약사여래좌상.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興國寺 石造藥師如來坐像)은 석재를 사용하여 만든 불상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흥국사 만월보전에 있다.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형태나 보존 상태 등으로 미루어 조선 후기의 유물로 추정되지만, 인근 지역에는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1335~1408]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성계의 출가한 딸이 아버지의 건강을 위하여 약사여래를 조성하여 정릉 봉국사에 모셨다가,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어느 순간 갑자기 약사여래상의 행방이 묘연해졌다고 한다. 이후 약사여래상이 한 시냇가에서 발견되었는데, 사람들이 불상을 옮기려고 하였으나 끝내 움직일 수 없고 요지부동이었다가, 흥국사로 모시겠다는 말을 듣고야 들리어 흥국사에 모셨다는 설화이다.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높이가 120㎝이다. 불상 전체 크기에 비하여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무릎은 상대적으로 작게 표현되어 있다. 두 손은 다리 위에 모아 약대(藥臺)를 잡고 있어 약사여래라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석재로 된 불상의 표면에 하얗게 분칠을 하였다.
흥국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조선 후기 제작된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의 불상에서는 상당히 드문 특이한 모습으로, 남양주 지역 불교 문화의 단면을 보여 주는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