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682 |
---|---|
한자 | 具永植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조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9년![]() |
---|---|
관련 사건 시기/일시 | 1919년 3월 18일 - 구영식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에서 3·1운동 발생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18일 - 구영식 경기도 양주군 화도면 3·1운동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19일 - 구영식 투옥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6월 - 구영식 징역 6월 선고 확정 |
출생지 | 답내리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답내리
![]() |
거주|이주지 | 답내리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답내리
![]() |
활동지 | 화도면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성 |
경기도 남양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구영식(具永植)[1889~?]은 1889년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답내리에 해당하는 양주군 화도면 답내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제의 가혹한 진압이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에 해당하는 양주군 화도면 마석우리 만세 시위 현장에서도 나타났다.
1919년 3월 18일 밤 10시경 화도면 마석우리[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의 이달용(李達鎔)을 위시하여 화도면 월산리[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의 김원석(金元石)·이승면(李承冕)·남궁우룡(南宮又龍)·윤준(尹俊)·김필규(金弼圭)·강선원(姜善遠), 화도면 답내리의 구영식·권은(權慇)·이윤원(李允遠) 등이 주민 200명과 함께 만세 시위를 벌였다. 한 시간 만에 1,000명으로 늘어난 시위 군중은 면사무소가 있는 화도면 마석우리의 헌병주재소로 몰려가 1919년 3월 16일 구금된 이재하(李載夏)·이승보(李承輔)·이택하(李澤夏)의 석방을 요구하며 헌병주재소를 공격하였다. 이에 일본 헌병대가 군중을 해산시킬 목적으로 발포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달용을 비롯하여 손복산(孫福山), 신영희(申榮熙), 유상규(兪相奎), 이교직(李敎稙) 5명이 현장에서 사망하였으며 강덕여(姜德汝), 원대현(元大鉉), 윤균(尹均), 윤정석(尹丁石), 이재혁(李載赫) 등이 중상을 입었다. 또 김필규·윤준·남궁우룡·김원석 등 다수의 사람이 연행되어 고문을 당하였는데, 구영식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구영식은 1919년 4월 25일 경성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선고받았다. 구영식은 선고에 항고하였으나 경성복심법원과 고등법원에서 모두 기각되어 1919년 6월 형이 확정되었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99번지에 화도면 일대의 만세 시위에 참여한 구영식 등의 인사들을 추모하기 위한 3·1운동 기념비가 건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