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057 |
---|---|
영어공식명칭 | Toemoesan |
이칭/별칭 | 태봉(胎峯)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진접읍 내각리|내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도주경 |
전구간 | 퇴뫼산 - 경기도 남양주시 |
---|---|
해당 지역 소재지 | 퇴뫼산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진접읍 내각리|내곡리![]() |
성격 | 산 |
높이 | 372m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와 진접읍 내각리·내곡리 경계에 있는 산.
퇴뫼산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와 진접읍 내각리·내곡리의 경계를 이루는 높이 372m의 산이다. 퇴뫼산은 용암산의 지맥이 수리봉, 천견산을 지나 뻗어 나와 형성되었다. 마을 사람들은 인접한 또 다른 산인 옛성산까지를 아울러 퇴뫼산이라 부른다.
‘퇴뫼산’의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퇴뫼의 ‘퇴’가 곁채, 행랑, 즉 몸채 곁에 붙어 있는 별도의 집채를 가리키므로, ‘퇴뫼산’이란 ‘높은 산에서 줄기가 뻗어 나와 독립적인 봉우리를 이룬 산’이란 의미를 띠는 것으로 추정된다. 퇴뫼산이 용암산에서 뻗어 나온 지맥에 의하여 형성되었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 또는 힘센 장사가 흙을 날라다 쌓은 산이라고 해서 ‘쌓을 퇴(堆)’를 써 퇴뫼산이 되었다고도 한다.
퇴뫼산은 태봉마을 동쪽에 자리하여 ‘태봉(胎峯)’이라고도 한다. 태봉은 왕자의 태(胎)가 묻힌 곳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보인다.
퇴뫼산은 용암산에서 갈라져 나온 산맥이 수리봉과 천견산을 차례로 지난 지점에 봉우리를 이루어 형성된 산이다.
퇴뫼산은 인근의 옛성산과 함께 등산하는 경우가 많다. 퇴뫼산을 산행하는 대표적인 코스는 퇴계원2리 마을회관에서 출발하여 곱돌산-퇴뫼산-옛성산-잣고개를 경유하는 것이다. 또는 응암리나 별내면행정타운, 대월교에서 각각 출발하여 퇴뫼산의 정상에 오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