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330
한자 魚類
영어공식명칭 Fishes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건희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의 여러 하천에서 서식하는 물고기의 총칭.

[개설]

어류는 척추동물에 속하는 한 강(綱)으로, 척추동물 중에서는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다. 아가미로 호흡하며 입의 위턱과 아래턱을 움직여 먹이를 먹는다. 형태는 대개 배, 가슴, 등, 꼬리, 볼기에 지느러미를 갖추고 부레가 있어서 물속을 헤엄쳐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부 어종은 물에서 나와서도 며칠을 살 수 있다. 보통 온몸은 비늘로 덮여 있고, 뼈는 연골 또는 경골로 이루어져 있다. 난생 또는 난태생을 한다. 현재 지구상에서 발견된 물고기는 약 2만 종에 이르고,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물고기는 대략 900여 종으로 확인된다.

경기도 남양주시에는 북한강 수계의 구운천한강 수계의 왕숙천이 함께 있어 이전부터 많은 종의 물고기가 서식하고 있었다. 현재는 물의 양이 이전보다 부족해지고 하천이 오염되어 물고기들의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물고기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현재 남양주에 서식하고 있는 민물고기류는 8과 17종으로, 뱀장엇과·잉엇과·미꾸릿과·메깃과·퉁가릿과·송사릿과·농엇과·가물칫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남양주시는 여러 차례 물고기들을 하천에 방류하면서 다른 생물의 개체수를 조절하거나, 사라진 어종을 복원해 가고 있다.

[광릉숲 일대의 어류 현황]

남양주시에서 어류가 서식하는 대표적인 장소는 봉선사천왕숙천광릉숲 일대의 하천이다.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광릉숲 일대의 어류상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여러 차례 조사가 실시되었다. 먼저 1932년 조선총독부임업시험장에 의해 광릉숲 일대의 어류상이 조사되었는데, 조사 지점은 광릉숲을 가로지르는 봉선사천은 물론이고 합류 하천인 왕숙천까지 아울러 광범위하게 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 결과를 보면, 13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인 어름치와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인 묵납자루가 출현한 기록이 있다.

그다음으로, 2007년 육림교부터 왕숙천 합류부까지의 일곱 지점에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9과 22종 1,280개체의 어종이 발견되었다. 과별로 살펴보면 잉엇과에 속하는 종이 10종으로 가장 풍부하였고, 미꾸릿과·메깃과·동사릿과·종갯과·검정우럭과 등의 순으로 많았다. 잉엇과에 속하는 종이 가장 풍부한 것은 한강 수계의 민물고기류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이때 출현한 어종 중에는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종은 없었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에 속하는 둑중개가 발견되었다. 이와 함께 긴몰개, 돌마자, 새코미꾸리, 참종개, 미유기, 퉁가리, 동사리, 얼룩동사리 등 우리나라 고유종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양주 하천의 중상류 지역 여울이 잘 보전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외래종이며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에 속하는 배스도 1종 출현하였다.

2011년에도 2007년의 조사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조사가 이뤄졌고, 이때는 8과 22종이 출현하였다. 이후 2015년에는 2007년과 2011년의 조사 지점을 고려하여 상류 지역에 2개 지점을 추가로 선정하였고, 총 8과 21종이 출현하였다. 2015년의 조사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종은 뱀장어와 비단잉어 2종이었다. 뱀장어봉선사천 상류 지역에서 사체 1개체가 발견되었고, 비단잉어 역시 봉선사천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육림호에 서식하던 개체가 유량 증가 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과거 조사에서는 출현했던 참붕어, 미유기, 퉁가리 등 3종은 이때 발견되지 않았는데, 2015년 조사 지점이 과거에 비해 상류에 해당하여 수환경이 일치하지 않은 것 때문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왕숙천 합류 지점까지 포함한 남양주 광릉숲 일대에서 현재 서식하는 어류는 20세기 초반의 수치에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여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