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85
한자 李希輔
영어공식명칭 Lee Huibo
이칭/별칭 백익(伯益),안분당(安分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73년연표보기 - 이희보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01년 - 이희보 문과 병과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07년 - 이희보 사헌부 탄핵으로 파직
활동 시기/일시 1536년 - 이희보 대사성 제수
활동 시기/일시 1547년 - 이희보 첨지중추부사 제수
몰년 시기/일시 1548년연표보기 - 이희보 사망
묘소|단소 이희보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152-1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평양(平壤)
대표 관직 첨지중추부사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가계]

이희보(李希輔)[1473~1548]의 본관은 평양(平壤)이며, 자는 백익(伯益), 호는 안분당(安分堂)이다. 아버지는 이극문(李克文)이며, 아내는 오천군(烏川君) 이사종(李嗣宗)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활동 사항]

이희보는 1473년(성종 4)에 태어났다. 1501년(연산군 7) 문과 병과에 합격하였다. 승정원주서, 홍문관수찬, 이조정랑, 내수사별제를 지내고 직제학이 되었다. 1506년(중종 1) 장녹수(張綠水)에게 아부하였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이희보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손자인 오천정(烏川正) 이사종(李嗣宗)의 사위였는데, 이사종이 장녹수의 딸을 양녀로 키우면서 긴밀한 관계를 맺은 것이 이희보가 출세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내용이었다. 이희보는 이듬해인 1507년 파직되었다. 1509년 연서찰방으로 다시 관직에 나갔고 선산부사, 예빈시첨정, 돈녕부정, 장례원판결사, 공조참의를 지냈다. 이후 지방관으로 나주목사, 여주목사, 부평부사를 지낸 뒤 대사성에 올랐다. 이희보가 가진 문필의 재주는 관료들에게 널리 인정받았으나 연산군 대 행적으로 말미암아 결국 대사성의 자리에서 교체되었다.

1535년 의정부, 이조, 예조가 함께 의논하여 이희보를 사유(師儒)로 선발하였다. 1536년 다시 대사성에 올랐으며 사헌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만한 학문을 닦고 부지런히 가르치는 데 적합한 사람이 없다고 평가되어 그대로 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1537년 과거 시험 출제와 관련한 표제(表題) 사건으로 대사성에서 파직되었다. 1538년 서용되어 부호군, 가평군수, 돈녕도정, 대호군을 지냈다. 제술(製述)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여러 차례 명나라 사신을 맞이하는 직임을 맡았으며 『운부군옥(韻府群玉)』을 찬집하였다. 1547년(명종 2) 표제 사건으로 개정되었던 가자(加資)를 돌려받았고 첨지중추부사에 올랐다. 1548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어우야담(於于野談)』에 따르면 본래 『안분당집(安分堂集)』 12책이 간행되지 못한 채 외손에게 전해지다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전하여 내려온 책의 여부를 알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이희보가 지은 시문은 완전하게 전하는 책이 없고 전하는 것도 드물다. 일부 시편이 정사본(精寫本) 1책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이라는 제목으로 편찬되었다. 『안분당시집』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고시(古詩) 38수가 실려 있고 권2에는 율시(律詩)가 수록되어 있는데 칠언율시 66수, 오언율시 4수, 칠언절구 3수가 있다.

[묘소]

이희보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152-1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