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84
한자 李沆
영어공식명칭 Lee Hang
이칭/별칭 중숙(仲淑),경무(景武),함녕군(咸寧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6년연표보기 - 이항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18년 - 이항 증광시 병과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이항 장단방어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이항 정사공신 3등에 책록
활동 시기/일시 1625년 - 이항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5년 - 이항 통제사 임명
몰년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이항 사망
묘소|단소 이항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 지도보기
성격 무신
성별 남성
본관 함평(咸平)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가계]

이항(李沆)[1586~1637]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중숙(仲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병조참의(兵曹參議) 이윤탕(李允宕)이고, 할아버지는 좌참찬(左參贊) 이염(李琰)이다. 아버지는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 이수원(李樹元)이며, 어머니는 별좌(別坐) 허임필(許霖弼)의 딸 김해 허씨(金海 許氏)이다. 부인은 사과(司果) 이인필(李仁弼)의 딸 이씨(李氏)이다. 아들은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이상현(李尙賢)[이제현(李齊賢)으로 개명]·이계현(李繼賢)이다.

[활동 사항]

이항은 1618년(광해군 10)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에 5위로 합격하였다. 1623년(인조 1년) 인조반정 때 훈련도감의 장관(將官)으로서 공을 세워 당상관에 올라 장단방어사(長湍防禦使)에 임명되었다. 1623년 겨울 책훈 시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책록되었으며, 함녕군에 봉해졌다. 이후로는 도총부부총관(都摠府副摠管), 훈련도감중군(訓鍊都監中軍), 포도대장(捕盜大將)을 비롯하여 충청도병마절도사(忠淸道兵馬節度使), 경상좌도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 경상우도수군절도사 겸 삼도통제사(慶尙右道水軍節度使 兼 三道統制使), 함경남도방어사 겸 영흥대도호부사(咸鏡南道防禦使 兼 永興大都謢府使), 함경북도병마절도사 겸 삼도순변사(咸鏡北道兵馬節度使 兼 三道巡邊使), 평안도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발발하고 인조가 남한산성에 몽진하였을 때 종성의 행영(行營)에 있다가 병사를 이끌고 원수(元帥)와 합류하였으나 병사를 물리고 진(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후 사헌부, 사간원에서 지원이 늦은 장수들의 죄를 추론할 때 여러 도의 감사 및 병사들과 함께 파직되어 곽산(郭山) 능한성(凌漢城)에 유배되었다. 1637년 병을 얻어 유배지에서 사망하였는데, 인조가 그 소식을 듣고 관작을 복구시키고 장례를 지원하였다.

[묘소]

이항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에 있으며, 인근에 신도비가 있다.

[상훈과 추모]

이항의 시호는 경무(景武), 봉호는 함녕군(咸寧君)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