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1325 |
---|---|
한자 | 倡夫-二 |
영어공식명칭 | Changbu-Taryong2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경화 |
채록 시기/일시 | 1998년 6월 7일 - 「창부타령2」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에서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0년 - 「창부타령2」 채록된 『남양주시지』3권 출간 |
채록지 | 검단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 |
가창권역 | 남양주시 - 경기도 남양주시 |
성격 | 경기민요 |
기능 구분 | 가창 유희요 |
형식 구분 | 독창 |
박자 구조 | 굿거리장단 |
가창자/시연자 | 이한효 |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가창 유희요.
「창부타령」은 무당이 위하는 광대신을 뜻하는 ‘창부’가 제목에 붙어 있는 데에서 짐작할 수 있듯, 본래 굿판에서 무당이 부르던 노래였다.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고 사람들이 즐겨부르기 시작하면서 대표적인 경기민요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노래 부르는 것 자체를 놀이로 삼아 흥을 돋우고자 부르는 가창 유희요로서, 구성지고 흥겨운 굿거리장단에 맞춰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는 「창부타령2」를 포함하여 두 곡의 「창부타령」이 채록된 바 있다.
남양주시에서 채록된 「창부타령2」는 진접읍 팔야리 검단에서 이한효의 소리가 1998년 6월 7일 채록되어 2000년 발간된 『남양주시지』3권의 490~491쪽에 수록되어 있다.
「창부타령2」는 독창으로 불린다. 사설은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사설과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는 후렴구로 이루어져 있다.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독창으로 불린다. 가사는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사설과 「창부타령」 특유의 “아니 노지는 못하리라.”라는 후렴구로 이루어져 있다.
팔야리에서 채록된 「창부타령2」의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니 아니 놀지는 못허리로다/ 공드라니 백발이요/ 면치 못할 것이 죽음이로다/ 천황 지황 인황씨며/ 요순의 덕문은~/ 독하게 없어 흥했으며/ 말 잘하는 소진작이도/ 우권시황은 다 달래두/ 염라대왕은 못 달래요/ 그러한 형용은 죽어/ 사적이라도 있건마는/ 우리 초로 같은 인생들은/ 아차 한번 죽어지면/ 잎이 나나 싹이 나나/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 진다 잎 진다 설워를 말아라/ 넌던 명년 춘삼월이면/ 다시 피면 오건마는/ 얼씨구 절씨구 지화자 좋네/ 태평성대가 여기로다.”
남양주시의 「창부타령2」를 비롯한 「창부타령」은 대표적인 경기민요로서 전국적으로 30종 이상의 다양한 형태가 전승될 만큼 활발히 전승되고 있으며 음반도 지속적으로 발매되고 있다. 사설이 긴 편이어서 일반 대중이 직접 부르는 일은 드물지만, 가창 유희요로서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향유되고 있다.
남양주시에 전승되는 「창부타령2」는 전국에서 전승되는 「창부타령」의 사설을 축약한 형태로 노래한 것이다. 덕이 높은 여러 임금을 나열하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주제 의식도 잘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