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1237 |
---|---|
한자 | 南楊州 冬官宅 |
이칭/별칭 | 연안 이씨 동관댁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강로961번길 25-14[내곡리 28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현철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1월 14일 - 남양주 동관댁 국가민속문화재 제129호 지정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남양주 동관댁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
현 소재지 | 남양주 동관댁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강로961번길 25-14[내곡리 286] |
성격 | 고택 |
양식 | 日자형 |
정면 칸수 | 7칸[문간채]|4.5칸[사랑채]|2칸[사당] |
측면 칸수 | 1칸[문간채]|1.5칸[사랑채]|2칸[사당] |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대부 가옥.
[개설]
남양주 동관댁(南楊州 冬官宅)은 ‘연안 이씨 동관댁’이라고도 불리며, 명당의 터에 집을 지어서 대대로 복록을 누려 왔다고 한다. 1800년대 이덕승[현소유자 여경구의 장인]의 8대조가 지었다고 전한다. 남양주 동관댁은 1984년 1월 14일 국가민속문화재 제129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위치]
남양주 동관댁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286번지에 있다.
[변천]
남양주 동관댁은 사랑채 앞에 헛간채가 있었으나 현재는 헐리고 없다.
[형태]
남양주 동관댁은 집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日자로 되어 있다. 각 채들은 각각 떨어진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데 경기 지방 사대부 가옥의 건축적 특징이다. 입구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문간채는 솟을대문이고, 구들과 외양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간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 규모이며 측면으로 건물 안쪽으로의 출입구를 두었다. 문간채를 들어서면 사랑채가 보인다. 사랑채는 자연석 기단 위에 정면 4.5칸, 측면 1.5칸의 一자형으로 지었으며 큰사랑방 2칸과 대청, 사랑방 1칸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면에 툇마루가 있고 후면에 쪽마루가 있다. 사랑대청은 앞쪽 구들과 전면 4칸 모두에 합문 3개를 설치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 전면이 후면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사랑채를 중심으로 바로 옆에는 광채[곳간채]가 있다. 광채는 사랑채를 지나면 있는 내부 영역으로, 사랑채 오른쪽으로 ㄴ자로 되어 있다. 광채는 꺾인 부분에 대문간을 설치하여 사랑마당에서 중문을 지나 안마당을 돌아서 들어가도록 하였다. 문간 옆에는 외양간, 광, 뒷간이 배치되어 있으며 서쪽 측면은 모두 광인데 사랑에서 쓰도록 고려되었다. 사랑채 뒤에는 사당이 있다. 사당은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1고주 5량가의 납도리 홑처마에 맞배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부엌 2칸, 안방 2칸, 건넌방 2칸의 구성이며 안방 동쪽으로 꺾여 골방과 뒷방, 광을 배치하였다. 안채와 광채는 내부 여성 영역으로 전체적으로 튼ㅁ자형 평면에 한쪽이 나와 있는 형식으로 외부에 대하여 폐쇄적인 구성이다.
[현황]
남양주 동관댁은 퇴뫼산을 뒤로 하고 있어 주변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사랑마당과 안마당은 별다른 조경 없이 앞면이 트여 있어 전망이 시원하다. 가장 깊숙이 자리한 안채는 ㄱ자, 안마당을 중심으로 광채가 ㄴ자로 배치되어 전반적으로 튼ㅁ자형 배치를 보인다. 안채의 부엌 동쪽의 뒤뜰을 지나면 개울이 흐르고 수목이 울창하게 심어졌는데 인위적으로 만든 숲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남양주 동관댁은 안채와 사랑채, 광채가 연결되지 않고 각각 떨어져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안채는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ㄱ자 집인데, 안방의 뒤쪽에 골방, 뒷방, 광을 둔 것이 특이한 공간 구성이다. 특히 조선 시대 남성의 영역이었던 사랑채와 여성의 영역이었던 안채를 공간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또한 하층 계급의 공간인 문간채와 상층 계급의 공간인 마당 내부 건물들의 상하 영역이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되어 조선 후기 사대부 가옥의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