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791
한자 趙芝薰
영어공식명칭 Cho Ji Hoon
이칭/별칭 조동탁(趙東卓)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신찬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0년 12월 3일연표보기 - 조지훈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8년 4월 11일~1941년 3월 16일 - 조지훈 혜화전문학교에서 수학
활동 시기/일시 1939년 - 조지훈 「된소리 기사에 대한 일고찰」 집필
활동 시기/일시 1939년 4월 - 조지훈 「고풍의상」으로 등단
활동 시기/일시 1939년 12월 - 조지훈 「승무」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40년 - 조지훈 「신라의 원가와 사뇌가에 대하여」 집필
활동 시기/일시 1941년 - 조지훈 오대산 월정사 불교전문강원 강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42년 - 조지훈 조선어학회 『우리말 큰사전』 편찬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조지훈 명륜전문학교[현 성균관대학교] 강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조지훈 진단학회 『국사교본』 편찬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조지훈 한글학회 『국어교본』 편찬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조지훈 시집 『청록집』 간행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조지훈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52년 - 조지훈 시집 『풀잎단장』 간행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조지훈 시집 『조지훈시선』 간행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조지훈 시집 『역사앞에서』 간행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조지훈 『지조론』 간행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조지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조지훈 「신라가요연구논고」 저술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조지훈 『돌의 미학』 간행
활동 시기/일시 1964년 -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간행
몰년 시기/일시 1968년 5월 17일연표보기 - 조지훈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1년 - 조지훈문학제 시작
추모 시기/일시 2013년 - 조지훈창작지원금 제정
출생지 조지훈 출생지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학교|수학지 영양공립보통학교 -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학교|수학지 혜화전문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묘소 조지훈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 지도보기
성격 시인|교수|국학자
성별 남성
본관 한양(漢陽)
대표 경력 고려대학교 교수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에 안장되어 있는 시인이자 국학자.

[개설]

조지훈(趙芝薰)[1920~1968]의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본명은 조동탁(趙東卓)이다. 아버지는 조헌영(趙憲泳)이고, 어머니 전주 류씨(全州 柳氏)이다. 1920년 12월 3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에서 사남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시인이자 국학자로, 1939년 4월 『문장(文章)』에 「고풍의상(古風衣裳)」이 추천되며 등단하였으며, 국문학과 국어학·민속학·역사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며 한국학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에 묘소가 있다.

[활동 사항]

조지훈은 1938년부터 1941년까지 혜화전문학교[현 동국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39년 3월 창간된 순문예 동인지 『백지(白紙)』를 통하여 활동하던 조지훈은 1939년 『문장』 4월호에 「고풍의상」이 정지용에 의하여 추천되어 수록되면서 등단하였다. 1939년 『문장』 12월호에는 「승무(僧舞)」가, 1940년 『문장』 2월호에는 「봉황수(鳳凰愁)」가 발표되며 총 3회의 추천이 완료되었다. 해방 이후 1946년에는 박두진, 박목월과 더불어 시집 『청록집(靑鹿集)』을 간행하며 청록파 시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조지훈은 국학자로서 다양한 활동과 업적을 남겼다. 1942년에 조선어학회 『우리말 큰사전』 편찬원을 지냈고, 1945년에는 한글학회 『국어교본』 편찬원과 진단학회 『국사교본』 편찬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1941년 오대산 월정사 불교전문강원 강사, 1945년 명륜전문학교[현 성균관대학교] 강사, 1946년 경기여자고등학교 교사 등을 거쳐 1948년에는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 부임하였다. 이후 1963년에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현 민족문화연구원] 소장으로 취임하여 『한국문화사대계(韓國文化史大系)』를 기획하였다. 조지훈은 『한국문화사대계』 제1권 민족·국가사 편에 수록된 「한국민족운동사(韓國民族運動史)」[1964]를 비롯하여 「신라가요연구논고(新羅歌謠硏究論考)」[1964], 『한국문화사서설(韓國文化史序說)』[1964]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며 한국학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였다.

[저술 및 작품]

조지훈의 저술과 작품은 시집과 시론집, 수필집, 논고 및 학술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조지훈의 시집으로는 박두진·박목월과의 합동 시집인 『청록집』[1946]을 비롯하여 『풀잎단장(斷章)』[1952], 『조지훈시선(趙芝薰詩選)』[1956], 『역사앞에서』[1957], 『여운(餘韻)』[1964]이 있으며, 시론집으로 『시의 원리』[1953]가 있다. 조지훈은 수필집으로 『창에 기대어』[1958]와 『시와 인생』[1959], 『지조론』[1962], 『돌의 미학』[1964] 등을 간행하였다. 또한 논고 및 학술서로 「된소리 기사에 대한 일고찰」[1939], 「신라의 원가와 사뇌가에 대하여」[1940], 「산유화가와 서리리탄, 기타」[1943], 「신라 국호 연구 논고」[1955], 「누석단·신수·당집 신앙연구」[1963], 「한국민족운동사」[1964]와 『한국문화사서설』[1964], 「수투전고-주곡의 '팔목놀이'에 대하여」[1966] 등을 집필하였다.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는 조지훈의 사거(死居)[죽어서 머무르는 곳]에 해당한다. 조지훈은 1966년에 고향에 있던 어머니의 무덤을 현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에 있는 송라산 자락으로 이장하고, 자신도 근처에 묻히고자 하였다. 1968년 조지훈이 사망한 이후 조지훈은 생전의 바람대로 모친의 묘소 아래에 묻혔다.

[상훈과 추모]

조지훈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나남출판[현 나남]에서는 2000년에 ‘지훈문학상’과 ‘지훈국학상’ 두 부문으로 나누어 ‘지훈상’을 제정하고, 2001년부터 시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조지훈의 생거(生居)인 경상북도 영양군에서는 2007년부터 매년 조지훈 예술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에는 2007년 개관한 지훈문학관이 있다. 조지훈의 사거인 경기도 남양주시에서는 2011년부터 조지훈문학제를 매년 개최하고, 2013년에 제정된 ‘조지훈창작지원금’ 제도를 전신으로 하는 조지훈문학상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공원길 507에는 조지훈 시비(詩碑)가 있는데, 1968년 8월 발족한 조지훈 시비 건립위원회에서 조지훈을 추모하기 위하여 1971년 7월 10일 세운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