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400 |
---|---|
한자 | 榛伐面 |
영어공식명칭 | Jinbeol-myeon |
이칭/별칭 | 갬벌면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수산리|진접읍 금곡리|부평리|진벌리|팔야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홍민호 |
폐지 시기/일시 | 1914년![]() |
---|---|
관할 지역 | 진벌면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수산리
![]() ![]() ![]() ![]() ![]()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수동면 일원에 있었던 조선 시대 및 개항기의 지방 행정구역.
진벌면(榛伐面)은 조선 시대 및 개항기 경기도 양주(楊州) 내에 있었던 행정구역 중 하나로,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수산리·진접읍 금곡리·부평리·진벌리·팔야리 일대에 해당하는 영역을 관할하였다.
조선 이전의 기록에서 확인되는 바가 없어 최초 제정 경위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초 면리 정리 과정에서 해당 구역도 일단의 정비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世宗實錄)』 1448년(세종 30) 12월 10일 기사에 따르면 삼군 진무소(三軍鎭撫所)에서 강무장(講武場)으로 삼기를 주청한 목록에 진벌산(榛伐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 병조는 사냥을 금지하되 벌목은 금지하지 말 것을 요청하였고, 세종의 허락을 받았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읍치로부터 동쪽으로 가까운 곳은 50리, 먼 곳은 70리 거리에 해당했으며, 해당 시점의 원호(元戶)는 218호, 남자는 472명, 여자는 877명이었다고 한다. 금굴리(金屈里), 마산리(馬山里)[남양주시 수동면 수산리] 등을 관할로 두고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기도 양주군 진벌면은 양주군 접동면(接洞面)과 통폐합되어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榛接面)으로 개설되었다.